시(B)와
파(F)
시와파 과연 무슨 연관이
있을까요?
일반적으로 동양은 5음계
서양은 7음계를 사용하는데
우선 7음계를 표시 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아래 내용은 모두 동일한 의미 입니다.
----------------------
숫 자
보: 1 2 3 4 5 6 7 1
우리나라 음이름: 다
라 마 바 사 가 나 다
영국 음이름:
C D E F G A B C
이탈리아 음이름: do
re mi fa sol ra si do
이탈리아 음이름:
도 레 미 파 솔 라 시 도
-----------------------
악보를 읽는데 중요한
포인트는 미(E)와 파(F) 그리고
시(B)와 도(C) 사이가 반음이고 나머지는 온음 이라는 점
입니다.
이웃한 두 음 사이 온음을
2라고 가정하면 반음은 1이 됩니다.
----------------------
다#라#마바#사#가#나다
도#레#미파#솔#라#시도
C#D#EF#G#A#BC
----------------------
악보에서 장조나 단조를
표시하는 수단으로
# (Sharp) 샵 :
반음올림 의미 하고
♭(Flat) 플랫 :
반음내림 의미 하고
Key : 음 높이를
의미합니다.
노래를 하는데 같은 곡
이라도 높게 부르는 것과 낮게 부르는 것은 느낌이
상당히 다릅니다. 마치 GAG프로에 나오는
고음불가 처럼 말입니다.
이렇게 같은 곡의
음높이(Key)를 높히거나 낮추는 역할을 하는 것이 조표에 사용되는
(#) 과(♭) 입니다.
얘들이 반음인
(미)-(파) 혹은 (시)-(도) 사이를 온음으로 만들어 (우리가 자주 가는
노래방에서 남자와 여자의 노래가 다르듯)
같은 곡 이라도 느낌이 다른
음의 높이(Key)를 결정하게 됩니다.
그러면 (#)과 (♭)은
악보에서 어떻게 작용을 하는 지 알아봅시다.
먼저 악보를 자세히
보면
악보의 첫 머리에 표시되는
높은음자리표 혹은 낮은음자리표 바로 다음에 조(Key)를
표시하는 (#)이나(♭) 을 보게 됩니다.
(#)과(♭)이 위치하는
자리는 항상 일정 합니다.
그러면 과연 (#)과(♭)이
어떤 자리에 오게 되는지
바로 이 부분이 악보를 보는
가장 중요한 단서(Key)가 됩니다.
음악에서 어느 장조나 혹은
단조의 곡을 결정하는데 있어 미(E)와 파(F) 혹은
시(B)와 도(C) 에서 (#)과(♭)이 사용 됩니다.
좀 더 정확하게
표현하면 파(F)와 시(B) 에서만
사용하게 됩니다.
파(F) 에는 반드시
(#)을 사용하고
시(B) 에는 반드시
(♭)를 사용하는 방식 입니다.
그럼 왜
일까요?
그 이유는
간단합니다.
7음계는 34음(미파)
그리고 71(시도) 사이가 반드시 반음이 되어야만 하는
특징이 있는데
반음인 (미)-(파) 사이와
(시)-(도) 사이를 온음으로 만들기 위해서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반음인 (미)-(파) 와
(시)-(도) 사이를 온음으로 만든다는 의미는
인접한 다른 음사이를 반음으로 만든다는
것과 같은 의미 입니다.
결과적으로 반음이 되는
인접한 음이
(미)-(파) 나 혹은
(시)-(도) 변하게 되면서 반음이 되어 조(Key)가
바뀌는 것입니다.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하면
파(F)에 (#)을
붙이면 미(E)와 파(F#) 사이가
온음이 되면서 음계는 다(C)장조 에서
사(G)장조로 변경 됩니다.
같은
방법으로
시(B)에 (♭)을
붙이면 시(B♭)와 도(C)사이가
온음이 되면서 음계는 다(C)장조 에서
바(F)장조로 변경 됩니다.
당연히 다(C)장조는 다(C)가
(도)음 이고 사(G)장조는 사(G)가
(도)음 이고 바(F)장조는 바(F)가
(도)음이 됩니다.
지금까지의 내용을 간단히
표현하면
(#)은 (파)에, 그리고
(♭)은 (시)에 붙이고 만약 두번째 세번째 네번째
라도 같은 방식으로 붙여 나갑니다.
---------------------
자 그러면 이 글의
주제인
악보를 볼 때 (도)음이
어디인지 알 수 있는 방법은?
------------------------
조표 마지막 (#)이 표시된
줄의 음 이름이 (시)입니다.
#(Sharp) 샵
-> ㅅ -> (시)
------------------------
조표 마지막 (♭)이 표시된
줄의 음 이름이 (파)입니다.
♭(Flat) 플랫
-> ㅍ -> (파)
------------------------
간단하네요.
어디가 (도)인지는 한번
계산 해 보세요. 그리고 천천히 계이름을 읽어 보면서 음을 함께 따라 소리를 내면 악보 읽기는 완성됩니다.
반복적인 연습만이 악보를
보는 지름길 입니다.
금호동성당
크레도성가대
배성삼(분도)
'음악·이론,에피소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모테트 (0) | 2013.12.11 |
---|---|
[스크랩] NWC-악보를 PDF-악보로 변환시키기 (0) | 2013.08.17 |
[스크랩] PDF보안 해재 프로그램 (0) | 2013.04.10 |
[스크랩] 구노의 아베마리아 (0) | 2012.11.18 |
발성법 정리 (0) | 2012.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