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교·기타종교

[스크랩] <주님의 기도>뒤에는 왜 "아멘!"을 하지 않는가?

아멘(Amen)은 히브리어로 ‘진실로’, ‘꼭 그렇게 되기를 바랍니다.’, ‘정말로, 그렇게 될 것을 믿습니다.’라는 의미가 있습니다. 유대인들과 그리스도인들은 기도나 종교적 문구의 끝에서 동의를 나타내는 말로 사용하였습니다. 오늘날에도 모든 기도의 마지막에 ‘아멘’을 붙여 우리가 앞에 바친 그 기도문의 내용이 꼭 그대로 이루어지기를 간구합니다. 즉 우리는 매 순간 하느님의 뜻이 그대로 내 안에 이루어지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기도하고 아멘으로 끝맺음을 합니다. 특히 미사 중에 바치는 ‘아멘’은 크게 세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본기도와 예물기도 그리고 영성체 후 기도 끝에 교우들은 “아멘”이라고 응답합니다.
            이는 교우들이 사제가 바치는 기도에 전적으로 동감하며 그 내용대로 이루어지기를 바란다는 의미입니다.

두 번째, 감사기도의 끝 부분에서 “그리스도를 통하여, 그리스도와 함께 그리스도 안에서…” 하면서 마침 영광송을 사제가 바친 후에 신자들이  “아멘”이라고 응답합니다.

            이는 하느님께 영광을 드리는 사제의 영광송과 감사기도 전체에 온전히 마음으로 응답하며 동의하는 것을 드러냅니다.

 세 번째로 성체를 모시기 전에 사제가 “그리스도의 몸”이라고 하면 교우들은 “아멘”이라고 응답을 합니다.

            이는 성체의 모습으로 현존하시는 그리스도께 대한 믿음과 신앙을 고백하는 것입니다.

한마디로 ‘아멘’은 기도를 마감하는 응답이며 주님의 뜻이 꼭 그대로 이루어지기를 동의하는 신앙고백입니다.


우리가 미사 중에 바치는 ‘주님의 기도’ 끝에 바로 아멘을 붙이지 않는 이유는 아직 기도가 끝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주님의 기도는 성찬례 예식 중 영성체 예식의 시작으로 사제는 ‘하느님의 자녀 되어 구세주의 분부대로…’ 또는 ‘주님께서 친히 가르쳐 주신…’ 하고 교우들에게 주님의 기도를 바치자고 권고합니다. 그러면 교우들은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로 시작되는 ‘주님의 기도’를 바칩니다.

그런 다음 사제는 혼자 부속기도(附續祈禱: 주님, 저희를 모든 악에서 구하시고 한평생 평화롭게 하소서…)를 바칩니다.

부속기도가 끝나면나면 모든 교우가 “주님께 나라와 권능과 영광이 영원히 있나이다.” 하고 찬미의 기도로 끝맺음을 합니다.
즉 주님의 기도 그 자체로 기도가 끝나지 않고 사제의 기도와 이어지는 영광송이 “아멘”의 역할을 대신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주님의 기도’ 끝에는 “아멘”을 붙이지 않습니다.
“에즈라가 위대하신 주 하느님을 양하자, 온 백성은 손을 쳐들고 ‘아멘,아멘!’ 응답하였다.”(느헤 8,6)

[글 김지영 사무엘 신부주임┃독산1동성당, 2012.2.12. 서울주보] 

'종교·기타종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조계종 중들의 밤샘 도박 파문  (0) 2012.05.14
[스크랩] 교중미사  (0) 2012.03.06
[스크랩] 동방박사   (0) 2011.12.25
[스크랩] 면죄부  (0) 2011.11.29
[스크랩] 버려진 초대장  (0) 2011.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