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대결절(聲帶結節)
성대결절에 대한 자료를 <naver지식in>
성대결절 후의 후유증이나 후의 관리법.skjlohwonhee 2006.11.17 23:55 |
답변 3 조회 10,790 |
---|
안녕하세요^^?
저는 16살이 건전한청년 입니다 ㅋㅋ
제가 한달전에 성대결절에 걸렸었거든요^^
노래를하는사람이 제 꿈인데 ~ 꿈이있고도불구하고 ㅠㅠ
황금같은목을많이쓰는바람에..즉;노래를많이하는바람에ㅠㅠ..성대결절이걸렸었어요.....근
데그렇게~ 크고딱딱한혹이아닌가봐요..의사선생님이 저에게 몇일말하지말라더니...저는
시키는데로 몇일목을쓰지않고 또 노력을많이했죠 →_(이와같은노력) 몇일 말도안하고 차
마시고 물많이마시고 수증기 이런거 마시고 노력을많이했음//.
그래서 빠른시일내에 (한 1주??)성대결절이 낳았어요.
저는 낳았다는이야기를듣고 좋아하며 목을 또 막 �죠 소리도지르고...
여태껏참았던것~~말도많이하고 노래도 신나게 부르고...하지만
요새들어서 가래가 자꾸 끼고 피맛도나고...(감기는절대아니에요)
노래하다가보면가끔씩가래가 나오기도하고.
또 노래를하면 예전처럼깔끔하지않고 약간 소리가 센다고할까??
음..공기가 쉐는거같아요 깔끔하지않고 음...말은말대로 공기는공기대로..
그래서 걱정이되어서 이렇게 질문을올리게됩니다.
(제가 성대결절판결이후 2틀정도 무리를했습니다.)←이것도이유중하날까요?
성대결절이후 바고 목을 쓰면 어떻게되나요??
제가드른바론 결절이후 노래를하면 성대에 상처가나게되고 그상처를 회복하려면
조용필씨처럼 똥물을먹어야한다는데 사실인가요??
위의 내용에대한질문에도 답좀해주시고요..
또 궁금한게 이것입니다.. 성대결절이후 목관리..
결절이후 목을많이쓰면 어떻게되나??
...휴우...쓸게많았는데 이게끝이네용 ㅠㅜㅠ
답부탁드려요!!
- 추가된 질문
- 2006.11.17 23:56 추가
- 제가 꿈이 노래하는사람이다시피..
성대결절이후에는 후유증이머가있을까요??ㅠㅠ
머예로 음역이 마이너스가 된다든지..등등.. - 제가 꿈이 노래하는사람이다시피..

re: 성대결절 후의 후유증이나 후의 관리법. |
|
---|
질문자인사 a
안녕하세요?
성악을 전공하는 사람으로써.. 경험을 바탕으로 답변해 드리겠습니다.
현제 제 목에도 결절이 2개가 있습니다. 결절은.. 일종의 굳은 살 같은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래서 결절이 생기면.. 성대가 비벼질때 굳은 살들로 인해 성대끼리 말끔하게 붙지 않아 소리가 새는것 처럼, 허스키한 것 처럼 들리게 되지요.
그렇다고 해서 치료방법이 없는것은 아닙니다.
가장 쉬운 방법으로는 수술이 있겠지만, 그건 별로 권해 드리고 싶지 않습니다. 결절 수술을 하고나면, 결절전과 목소리에 변화가 많이 나기 때문에, 노래하시는 분들로 하여금 감이 많이 사라져서 고생을 하신다는 말을 들은 적이 잇습니다.
저같은 경우는 좋은 발성으로 치료했습니다. 지금도 검사를하면 결절이 양쪽에 하나씩 있습니다만, 성대가 비벼지는 곳에서 비켜나 있으므로, 성대가 부벼질때는 결절과는 전혀 상관없어 졌기에.. 결절이 있어도 소리내는데 전혀 문제가 없습니다.
에.. 요즘은 이비인후과에 기술들이 발달하고.. 그러면서 결절을 진짜 결절일때 얘기하는 경우가 많기는 하나, 굳은살이 배기기전에 물혹이 날듯한.. 약간 더러운 상태에서도 의사선생님들께서는 결절이라고 말씀하시는 것 같더라구요..
즉, 2주정도만 조심하라고 하신걸 봐서는 아직 결절이 생기지 않았다고 감히 생각해봅니다. (저같은 경우는 내시경을 통해 성대를 보면 3개월 이상 목 아끼라고 얘기를 듣습니다;)
음.......
그리고 이건 논외의 답변일 수도 있겠지만..
사실 저는 실용음악 하시는 분들의 발성은 잘 모르지만;;
무리를 했다고 해서.. 그것도 막 소리지르고 다니시거나 한것이 아니고 노래만 부르시다가 결절이 생기거나 그러신거라면, 발성적으로 문제가 있지 않나? 라고 감히 여쭙고 싶습니다. 실용음악도, 성악도 좋은 발성으로 좋은 소리를 내는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노래를 하고 싶어 하신다면, 지금부터라도 어느정도 래슨을 다니시면서 연습하시는게 좋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출처 : 경험
-------------------------------------------------------------------------------------------------------------------------
** 다른 의견
1. 발성장애란?
발성장애란 소리의 구성요소인 음질, 높이, 세기(크기), 지속시간 등에 이상이 있는 것을 말하며 원인으로는 1) 발성기구인 후두에 병변이 있는 경우 2) 전신질환에 의한 경우 3) 기능성 발성장애를 가진 경우 등이 있습니다.
후두의 병변으로는 후두염, 성대결절 및 어린이 성대결절, 성대 폴립, 후두마비, 후두종양, 후두외상 등이 많고, 전신적 원인으로는 내분비(홀몬) 장애가, 기능성 발성장애의 원인으로는 정신심리적 원인과 나쁜 발성습관의 모방(예:특정가수의 발성을 흉내내는것) 등이 많습니다.
2.성대결절, 어린이 성대결절, 성대폴립
성대결절은 성대의 남용 특히 높은 피치로 과긴장성 발성(힘을 잔뜩 주어 소리를 내는것)이 원인입니다. 어린이에서는 남자에서, 성인에서는 여자에서 많은 편이며 주로 교사, 가수, 상업 종사자, 크게 소리지르며 노는 어린이 등 '만성적'으로 성대남용을 하는 급한 성격의 사람에서 잘 생깁니다.
성대폴립은 성대의 남용, 특히 낮은 피치로 과긴장성 발성을 하는 성인에서 잘 생기고 어린이에서는 드뭅니다. 성대폴립은 성대손상이 장기적이 아닌 단 한번의 큰소리를 낸 후에도 발생할 수 있고 상기도 감염 등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증상
주증상은 쉰 목소리(애성)이며 성대결절의 경우 쉽게 음성이 피로해지며 고음에서 음성의 분열과 중복음이 있습니다. 성대폴립에서는 폴립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증세의 변화가 많아 거의 목소리의 변화가 없는 경우부터 폴립이 성대사이로 돌출하여 거의 목소리를 내지 못하는 경우까지 다양합니다.
4. 진단
성대의 병소는 직접 병소를 확인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방법으로는 간접후두검사법, 직접후두검사법, 화이버내시경 등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5. 치료
잘못된 발성법을 고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특히 어린이에서는 너무 소리를 지르며 놀지 않도록 생활지도를 잘 해 주어야 합니다. 초기 병변은 성대 휴식을 위한 침묵요법(환자가 말을 하지 않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소실되기도 합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며, 수술현미경 하에서 성대에 최소한의 외상을 주도록 하는 정교한 후두미세수술을 시행하여 병변을 제거하여야 합니다.수술후 약 1-2개월 후 까지 성대사용을 최소화하고 건조한 공기를 피하는 것이 수술부위의 치유에 필수적인 사항입니다. 성대결절이 심하진 않더라도 조심하셔야 합니다.
물론 님이 지금 걱정하시는건 그 후를 말하시는거 같은데.그런건 그리 걱정 안하셔도 됩니다. 하지만 이시기에 잘못 관리하시면 큰 목소리의 피해가 올수 있죠.
성대결절이 될 때까지 연습하시다니... 대단하시네요~